글쓰기 초보자가 배워야할 것들 2부
글쓰기 초보자가 배워야 할 것들 2부
맞춤법과 문법 실력
글쓰기 맞춤법
글쓰기 맞춤법은 글을 올바르고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지켜야 할 규칙적인 문법 체계를 말합니다.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독자가 이해하기 어렵거나 오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철자규칙
철자규칙은 올바른 철자 사용법을 유지하는 규칙의 모음입니다. 올바른 철자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중요합니다. 올바른 철자 규칙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띄어쓰기
띄어쓰기는 매우 중요한 철자 규칙 중 하나입니다. 띄어쓰기를 통해 문장의 구분이 확실하게 되며, 독자가 문장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띄어쓰기를 해야 합니다.
◈단어와 단어 사이에는 공백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 나는 학교에 갔다.
◈ 문장과 문장 사이에는 띄어쓰기와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가 필요합니다. 예:오늘은 날씨가 좋다. 그래서 공원에 갔다.
◈ 단어의 앞과 뒤에는 띄어쓰기가 필요합니다. 예:나는 운동을 즐긴다.
◈ 괄호로 둘러싸인 단어나 숮자 사이에는 띄어쓰기를 해야 합니다. 예:(1) 나는 사과와 바나나를 좋아한다.
◈ 따옴표의 내용 사이에는 띄어쓰기를 해야 합니다. 예:"나는 노래가 좋아요."
◈ 약어나 줄임말의 각 부분은 띄어쓰기로 분리됩니다. 예: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이외에도 띄어쓰기 규칙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따라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올바른 띄어쓰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소문자
대소문자는 영어에서 매우 중요한 철자 규칙 중 하나입니다. 대소문자를 제대로 사용하면 문장의 의미를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영어에서는 첫 번째 단어와 문장 부호 뒤의 첫 번째 단어는 대문자로 쓰여야 합니다. 예:My name is Tom.
◈ 전체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쓰여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IBM, NATO, iphone, CCTV
◈ 제목, 책 제목 및 강의 계획서 등과 같이 표제어에도 대문자를 사용합니다. 예:The Great Gatsby, Introductlon to psychology.
◈ 인적명사, 언어명, 국가명, 지명, 종교명, 신문사명, 축구팀명 등은 대문자로 씁니다. 예:John, English, South Korea, SanFrancisco, Catholicism, New York Times, Times, Barcelona FC.
◈ 인용문에 대해 대소문자를 사용하는 규칙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용된 문장의 첫 번째 글자는 대문자입니다. 그러나 인용 부분이 문장 끝에 있다면 마침표나 물음표와 같은 문장 부호 뒤에 대문자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Tomorrow is another day, " said Scariett./"What's your name?" she asked.
영어 대문자와 소문자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영어를 사용할 때 대소문자 사용 규칙을 잘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어와 준말
약어(Abbreviation)는 긴 단어나 구를 짧게 줄여 쓴 것입니다. 예를 들어,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ation)는 미국 항공우주청을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준말(Acronym)은 약어와 유사하지만, 앞 글자를 따서 만들어진 음절을 모아서 하나의 단어를 만든 것입니다.예를 들어, UNESCO(United Educational Scientfic and Cultural Organization)는 유네스코를 나타내는 준말입니다.
약어와 준말은 일상 생활과 전문 분야에서 어디서든 자주 사용합니다. 여러 곳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언어 및 분야별로 고유한 약어와 준말도 있습니다. 이러한 약어와 준말을 사용할 때 편리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약어 또는 준말은 반드시 처음 등장할 때는 전체 용어를 함께 쓰거나, 전체 용어가 이전에 출현한 문장을 사용해야 합니다.
◈ 조직명 또는 기술 용어의 약어나 준말은 대문자로만 쓰입니다.
◈ 문자 부호 뒤에 오는 약어나 준말은 끝에 마침표를 붙이지 않습니다.
예:
◈ FBI(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는 미국 연방수사국을 나타내는 약어이다.
◈ AIDS(Acquired Immunodeficiency Sydrome)은 유방암을 나타내는 준말이다.
◈ The CEO of the company, John Smith, announced that the company would merge with another firm next year.
◈ The DIY(Do It Yourself) store will have a sale next week
◈ I work for the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which is based in Washington D.C.
이중자음과 이중모음
이자자음(Double entendre)은 문장이나 단어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말장난입니다. 이 말장난은 주로 의도적으로 사용되는 언어유희로서, 농담이나 유머 요소, 선정적인 의미 등의 추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중자음은 종종 문학, 예술, 광고, 영화 등의 매체에서 사용되며, 감정적인 효과를 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부적절하게 사용될 때 선정적인 또는 혐오적인 의미를 얻을 수 있어서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물고기를 자꾸 다급하게 구하면 물고기도 스트레스 받으니 널리 퍼트려줘"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닙니다. 한 가지는 물고기를 구한 뒤 물속으로 넣어주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물고기를 섹스하듯이 강타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형태의 이중자음은 영화, 광고, 노래 가사 등에 자주 발견됩니다.
이중 모음(Double Vowel)은 모음이 연속해서 두 개 이상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예", "오", "의", "인" 등이 이중모음에 해당합니다.
이중 모음의 특징은 발음이 강조되고, 한 글자에서 두 개이상의 소리를 내기 때문에 단 모음보다 길게 연속된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이중 모음은 한자어에서 자주 사용되며, 한글의 모음 중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ㅞ", "ㅟ", "ㅢ" 등이 이중모음에 해당됩니다.
한국어에서 이중 모음은 종종 미끈한 감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예를 들어 "사랑", "행복", "보안" 등에서 자주 들을 수 있습니다. 이중 모음은 발음이 강조되기 때문에, 명료하게 발음하지 않으면 악센트가 다른 언어와 차별화되기 때문에, 발음 연습이 필요합니다.
앞뒤 스펠링 규칙
앞뒤 스펠링 규칙(앞 뒤 철자 규칙 혹은 전후 스펠링 규칙)은 단어의 뒷자리에 따라서 어떤 스펠링으로 단어를 써야 할지를 결정하는 규칙입니다. 일반적으로 영어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run"과 "running"과 "runner"과"runs"과 같은 경우에도 각 단어에 뒷자리의 영향을 받아서 철자가 다르게 쓰이기 때문입니다.
앞뒤 스펠링 규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모음 축약(rule of vowel reduction), 더블 컨속넌트(doubling consonants), 매직 이 씨(magic e)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admit"은 모음 축약 규칙에 따라 "admission"으로 철자가 달라집니다. 더블 컨소넌 트는 "run" 이 "running"으로 바뀌는 것과 같이 중복된 자음으로 철자가 바뀌는 규칙입니다. 매직 이 씨는 "hop"에 "e"를 붙여 "hope"로 바뀌는 규칙으로, 뒤에 붙은 "e"는 발음하지 않지만 단어의 철자에는 영향을 끼칩니다. 앞뒤 스펠링 규칙은 영어를 공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암기하면, 영어 단어 철자를 정확하게 쓸 수 있고, 영어 단어의 철자 변화를 예측할 수 있게 됩니다.
사운드
철자규칙 사운드는 철자와 관련된 발음 규칙을 말합니다. 이 규칙을 이해하면 어떤 단어의 철자를 보고도 그 단어의 발음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 철자를 읽을 때, 철자 하나하나가 고유한 발음을 대응하는 것은 아닙니다. 철자 규칙에 따라서 철자가 한 단어의 발음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kite"를 생각해 보면 "k"와 "i" 사이에 "e"가 들어가 있는데, 이 "e"는 발음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래서, "kite"는 "카이트"로 발음됩니다. 이처럼, 철자규칙 사운드는 알파벳 자음과 모음에 따라 발음되는 규칙성이 있습니다. 한국어에도 철자규칙 사운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ㅗ"와 "ㅏ"가 결합한 "ㅘ"는 "와", "ㅜ"와"ㅓ"가 결합한 "ㅝ"는"워"로 발음됩니다.
철자규칙 사운드를 잘 이해하고 연습하단면, 외국어를 배울 때나 영어 리스닝 등의 공부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한국어의 경우에도 단어의 발음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미국식 대 영국식 철자
미국식과 영국식은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각각 사용하는 철자 규칙입니다. 이 두 국가 간의 철자 규칙 차이는 영어의 발음과 어휘, 철자에 관한 문화적 요소 등에 대한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영어 단어의 철자 중에서 미국식과 영국식에서 다르게 쓰이는 것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color"와 "flavor"는 미국식에서는 "colour"와 "flavour"로 쓰이며, "center"는 영국식에서는 "centre"로 쓰입니다. 또한, 미국식에서는 "check"로 쓰이는 단어가, 영국식에서는 "cheque"로 쓰입니다.
또한, 미국식과 영국식에서 표기에 대한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직 막대기는 미국식에서는 "즉석 피자"를 의미하는 "Pizza"와 같이 띄어쓰기되어 있으면 약어를 의미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영국식에서는 "John and Jane(John과 Jane)"와 같은 띄어쓰기에 대해 수직 막대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미국식과 영국식의 철자 규칙 차이는 상당히 작고 세부적인 차이이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언어로 느껴질 수는 없지만, 프로젝트나 출판 등에서는 어느 한 국가의 규칙을 따라야 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