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이야기
명확한 글쓰기의 목적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다.
블랙데블2
2022. 1. 4. 10:24
SMALL
명확한 글쓰기의 목적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다.
앞에서 이야기한 내용을 읽고 실천하면 어느 정도 깔끔한 문장을 쓸 수 있을 정도는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평소 비즈니스 현장에서 곤란을 겪는 일은 없어질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음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단순히 비즈니스 문서의 작성 능력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성인으로서 일류 문장을 쓸 수 있도록 하자는 것입니다. 그러면 일류 문장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문장' 입니다. 그런 문장을 쓰려면 우선 자신의 일상에서 마음가짐이나 습관을 바꿔야 합니다. 그래야 진정한 '언어의 힘'에 눈을 뜹니다. 그 힘을 구사해 언어를 기능적으로 구축하지 못하면 일류 문장을 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문장=일류 문장'은 반드시 문학적인 문장일 필요는 없습니다. 미사여구를 늘어놓지 않고서도 본질을 뚫어 보기 위한 최적의 '내용' 과 '연어'가 있다면 충분히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기업이나 사회가 직장인에게 요구하는 것은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이 좋다.','재미있는 시야를 가지고 있다.'라는 포인트와 더불어 '마무리가 좋다.','사람드로가의 커뮤니케이션이 좋다.', '새로운 제안을 할 수 있다.', '정보를 수집하여 잘 활용할 수 있다.' 는 혈을 짚는 문장입니다. 결국 '지금 어떤 문제가 있고, 그러면 어떻게 하면 좋은가에 대해 분명하게 지적하고 스스로 수정하여 실행할 수 있는 능력' 을 요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이야기를 몇 번이나 강조한 바 있는데, 비즈니스 장면에서 문서를 작성할 기회는 상당히 많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자사의 이익만을 강조하는 문장으로는 상대방은 불쾌감을 느낄 뿐 교섭의 자리로 불러낼 수 없습니다. 결국 자사의 이익은 무엇인가, 상대방의 이익은 어디에 있는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쌍방이 납득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러면 쌍방이 납득할 수 있는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은가? 원래 비즈니스 문서는 비즈니스 상의 시룸를 수행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이므로 단계를 밟아 갈 필요가 있습니다. 최종 목적은 어디에 있는가를 명확히 한 뒤, 거기에 도달하기 위한 중간지점을 설정하고, 그 하나하나를 클리어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입니다. 말할 것도 없이 교섭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가는 작업이기 때문에 최종적인 목적은 상대방도 납득 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예들 들어 상대방 회사와 새로운 거래를 시작하려고 할 때 문서의 최종 목적은 쌍방에 이익이 되는 것이어야 합니다. 아무리 멋진 수사를 구사했다 하더라도 자사의 이익만을 우선하는 방식으로는 잘될 수가 없습니다. 결코 자기중심적이지 않은, 상대에 대해서도 만족도가 높은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때 기본적으로 목표를 처음에 제시하고, 용건을 잘 전달할 수 있는 문장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교섭마다 항상 용건을 분명히 말하는 것이 최선인가 하면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오히려 완곡한 표현을 선택하는 편이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오히려 완곡한 표현을 선택하는 편이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의뢰에 대해 거절을 할 때 그 거절의 이유를 너무 분명ㅎ게 밝히면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후의 관계가 단절되어도 좋다면 깊이 생각할 것이 없이 분명한 이유를 통보하면 그만일 것입니다. 그러나 앞으로도 관게를 맺어 가야 하는 상대의 경우라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잘 판단해야 합니다. 그 결과 이유를 명확히 밝혀 거절하는 경우라도 이유는 분명히 할망정 '가능한 한 받아 들이려는 노력을 했다.' 와 같은 상대방의 감정에 대하 배려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완곡한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이유를 밝히지 않고 거절하기로 했다면 오히려 애매한 단어를 사용하지 말고, 명확한 언어를 구사해 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거절하는 이유를 밝히지 않은 채 감정을 배려한 애매한 단어만을 게속 사용하면 상대를 설득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상대방과의 관제가 단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