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인생이야기

글쓰기 초보자가 배워야할 것들 3부

SMALL

글쓰기 초보자가 배워야 할 것들 3부

띄어쓰기 규칙

1. 문장의 끝 또는 쉼표, 점, 물음표, 느낌표, 쌍점, 따옴표 등의 구두점 앞, 뒤에는 띄어쓰기를 해야 합니다.

예) 저는 받을 먹었어요, 하지만 너는 안 먹었지?

2. 조사, 관형사, 접속사, 부사, 전치사와 그 뒤에 오는 단어 사이에는 띄어쓰기를 해야 합니다.

예) 이것은 너의 것이다.

3. 뜻상으로 합쳐져 있어도 띄어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 헌법 제1조, 빨간색 옷, 시외버스 등

4. 같은 품사인 단어들을 이어 쓸 경우, 띄어 쓰지 않는다.

예) 나는 소녀시대와 걸스데이를 좋아한다.

5. 외국어 단어들과 한글 단어들을 함께 쓸 경우, 띄어쓰기를 해야 한다.

예) 그 사람은 computer engineer입니다.

6. 합성어의 경우, 각 부분을 띄어쓰기하지 않는다.

예) 업무미팅, 반포대교, 천재학자

7. 숫자와 단어의 경우,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다.

예) 10개, 100원

띄어쓰기 규칙은 쓰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며, 올바른 띄어쓰기를 위해서는 많은 예시들을 참고하고, 꾸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문장 부호 규칙

문장 부호 규칙은 쉽게 말해 문장을 읽고 이해하기 쉽도록 문장 부호를 사용하는 방법과 규칙을 말합니다. 문장 부호 규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마침표(.) : 문장의 끝에 사용한다. 마침표 다음에 은 한 칸을 띄우고 다음 문장을 시작한다.

예) 나는 오늘 책을 읽었다.

2. 물음표(?) : 의문문의 끝에 사용한다.

예) 어디에 살고 있어?

3. 느낌표(!) : 놀라거나 감탄의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예) 어머! 이렇게 예쁜데?

4. 쉼표(,) : 문장 내에서 단어나 구절을 구분할 때 사용한다.

예) 그는 착하고, 영리하지만, 조급하다.

5. 세미콜론(;) : 두 문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날 때 사용한다.

예) 철수는 울면서 나에게 이야기했다; "나는 너무 외롭다."

6. 콜론(:) : 앞 문장이 뒤 문장을 설명하는 경우, 또는 목록을 나열할 때 사용한다.

예) 내일은 의료진, 간호사, 환자 모두 참석해야 합니다. 대규모 회의를 진행합니다.

7. 따옴표(' ', " ") : 직접 언급한 말이나 문장을 나타낼 때, 또는 특ㅈ겅한 용어나 문장을 강조하거나 부사로 만들 때 사용한다.

예) "한국은 우리나라다"라고 말했다.

문장 부호 규칙은 주로 학교 교육에서 배우지만, 사실상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올바르게 문장 부호를 사용하면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문장 작성 시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중요한 규칙입니다.

 

대소문자 규칙

대소문자 규칙은 말 그대로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규칙을 말합니다. 대소문자 규칙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됩니다.

1. 문장 시작 시 대문자 사용 : 문장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시작합니다.

예)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2. 제목, 제목 문구, 제목 내의 첫 단어 대문자 사용 : 책, 논문, 보고서, 뉴스, 게시물 등에서 제목과 제목 문구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합니다. 특히, 제목 내에서 분류할 때 첫 단어도 대문자로 시작합니다.

예) The Great Gatsby, Harry Potter and The Philosopher's Stone, The Hobbit: An Unexpected Journey

3. 이름, 지명, 기관명 대문자 사용 : 사람의 이름, 지명, 기관명, 상호 등은 대문자로 적습니다.

예) John Smith, London, British Museurn, Starbucks

4. 명사절, 인용구의 첫 단어 대문자 사용 : 어떤 문장에서 첫 번째 단어가 계속되는 경우라면, 두 번째 문장도 소문자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예) Christopher Columbus, who is a famous explorer, discovered America, He was the first to reach this new land.

5. 약어, 두문자어, 이니셜 대문자 사용 : 약어, 두문자어, 이니셜 및 축약어의 경우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습니다.

예) NCAA(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RCMP(Royal Canadian Mounted Police), JFK(John F.Kennedy)

이러한 대소문자 규칙은 영어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것은 문장의 구조와 의미 전달력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영어 문장을 작성할 때 이러한 대소문자 규칙을 준수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문규칙

1.  주어와 동사의 일치

글쓰기에서도 주어와 동사의 일치는 중요한 구문 규칙 중 하나입니다. 올바른 주어와 동사의 일치를 지켜줘야 쓰고자 하는 내용이 명확하게 전달됩니다. 주어와 동사의 일치를 위해서는 주어와 동사의 수와 인칭이 일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주어와 동사의 종류와 수를 정확히 인식하고, 적절한 동사 형태를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는 일치해야 합니다.

-나는 춤을 추고 있다.(나는 1인칭 단수, 추고 있다는 단수 동사로 일치)

-우리는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우리는 1인칭 복수, 나누고 있다는 복수 동사로 일치)

-그들은 음악을 듣고 있다.(그들은 3인칭 복수, 듣고 있다는 복수 동사로 일치)

반면에 주어와 동사가 일치하지 않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는 춤을 추고 있습니다.(나는 1인칭 단수이지만, 추고 있습니다는 2인칭 복수 동사이므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맞는 문장은 "나는 춤을 추고 있다"입니다)

-우리는 이야기를 나누었고, 웃었다.(우리는 1인칭 복수이지만, 나누었고 웃었다는 단수 동사이므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맞는 문장은 "우리는 이야기를 나누고 웃었다"입니다.)

주어와 동사의 일치를 지켜낼 수 있도록 문장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장을 구성할 때에도 주어와 동사의 일치를 먼저 생각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2. 목적어와 동사의 일치

글쓰기에서도 목적어와 동사의 일치는 중요한 구문 규칙 중 하나입니다. 올바른 목적과 동사의 일치를 지켜줘야 쓰고자 하는 내용이 명확하게 전달됩니다. 목적어와 동사의 일치를 지키기 위해서는 목적와 동사의 종류와 수를 정확히 인식하고, 적절한 동사 형태를  선택해야 합니다. 목적어와 동사가 일치하지 않으면 문장이 이상하게 들릴 뿐만 아니라, 의미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장에서 목적어와 동사는 일치해야 합니다.

-나는 사과 한 개를 먹었다.(사과 한 개는 단수 목적어, 먹었다는 단수 동사로 일치)

-우리는 과제를 제출했다.(과제는 단수 목적어, 제출했다는 단수 동사로 일치)

-그들은 소설을 읽고 있다.(소설은 단수 목적어, 읽고 있다는 단수 동사로 일치)

반면에, 목적어와 동사가 일치하지 않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는 사과 한개를 먹습니다.(먹습니다는 2인칭 복수 동사이므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맞는 문장은 "나는 사과 한개를 먹는다"입니다.)

-우리는 과제를 제출하고, 채점을 받는다.(제출하고 채점을 받는다는 복수 동사이므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맞는 문장은 "우리는 과제를 제출하고 채점을 받는다"입니다.)

목적어와 동사의 일치를 지켜낼 수 있도록 문장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장을 구성할 때에도 목적어와 동사의 일치를 먼저 생각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3부끝.

LIST